기록하다. 공유하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 글들은

제가 2019~2020년도

전기직 취업 준비를 위해

정리하던 자료입니다

 

현재는 취업에 성공했고

예전에 적어뒀던 블로그 문을 닫고

질문만 보고

답은 생각해보면서

펼쳐보는게 좋을 것 같아

아래 방식으로

여기에 새로 옮겨 적어봅니다.

 

전기 학문 특성상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아

도움이 될까싶어 올려두니

도움 되시면 좋겠습니다

 

 

 

 

Q1-1. 직류 송전 방식 장점 ?

(79번답 참고)

더보기

1) '절연 계급'을 낮출 수 있다

2) '송전 효율'이 좋다

3) '안정도'가 좋다

4) '유도장해'가 적다

 

Q1-2. 직류 송전 방식 단점 ?

(79번 답 참고)

 

더보기

1) 직류 전류의 차단이 곤란하다

2) 승압 및 강압이 곤란하다

3) 인버터, 컨버터 등 교직 변환 장치들이 필요하다

4) 고조파를 제거하는 설비가 필요하다

 

Q1-3. 교류 송전 방식 장점 ?

(79번 답 참고)

더보기

1) 전압의 승압 및 강압이 쉽다

2) 회전 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모터에 바로 사용 가능하다)

3) 일관된 운용을 기할 수 있다

4) 고전압, 대전류 차단 용이하다

 

Q1-4. 교류 송전 방식 단점 ?

(79번 답 참고)

더보기

1) 표피효과 때문에 전선의 실효 저항이 증가하고 손실이 커진다

2) 직류 방식에 비해 계통의 안정도가 낮다

3) 페란티 현상, 자기여자 현상 등의 이상 상태가 발생한다

4) 인근 통신선에 유도 장해가 크다

 

Q2. '표피효과'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도체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도체 내부에 전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원형 자속이 형성되고 와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 때, 중심부의 전류는 상쇄되어 감쇠하고, 표면 부근의 전류는 커지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도전율이 높을수록,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두께가 감소하므로

표피효과는 증대되어 도체의 실효저항이 증가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공연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Q3. '공칭전압'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의미하며, 그 계통의 송전전압을 나타냅니다.

최고전압 = 공칭전압 / 1.1*1.15

정격전압 = 전기기기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표준 상태의 전압

 

Q4. 'ACSR 전선과 경돈선의 차이'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코로나 발생 측면 : ACSR전선은 바깥지름이 크므로 경동선에 비해 코로나 발생이 적습니다.

전선의 진동 측면 : ACSR전선은 경동선에 비해 가볍고 바깥지름이 크므로 진동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Q5. '전선의 굵기 선정 시 고려사항'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코로나, 전력손실 및 경제성, 부하증가에 대한 예측 등

을 고려해야 합니다.

 

Q6.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 법'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켈빈의 법칙에 따라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를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Q7. '전선의 진동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1) 가벼운 전선의 경우

2) 경간이 긴 경우

3) 가선 장력이 클 경우

4) 전선의 바깥지름이 클 경우

진동의 발생이 쉽습니다.

 

Q8. '오프셋' 을 두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선 도약에 의한 상부전선과 하부전선의 단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Q9. '지중케이블 고장점 탐지법'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1) 머레이루프법

2) 정전용량법

3) 펄스측정법

4) 수색코일법

 

Q10. '선로정수'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및 누설 컨덕턴스 (R,L,C,G) 4가지 정수를 선로정수라 합니다.

선로정수는 전선의 종류, 굵기, 배치에 따라 정해지며

송전전압, 주파수, 전류, 역률 및 기상 등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임피던스 Z = R +jX = R + j(X_L - Xc) = R + j(wL - 1/wC) 

리액턴스 X = X_L - Xc = wL - (1/wC)

유도성 리액턴스 = X_L = wL

용량성 리액턴스 = Xc = (1/wC)

(여기서 w=2πf)

 

Q11. '복도체 방식'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정의, 장단점)

더보기

복도체 방식이란, 가공전선로의 한 상당 이용되는 도체의 수가 2개 이상인 방식을 의미합니다.

장단점으로

1) 코로나 임계전압 상승

2) 선로의 정전용량 증가

3) 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4) 선로의 송전용량 증가

5) 안정도 증가

6) 전위경도 감소

7) 페란티 효과에 의한 수전단 전압 상승

8) 단락사고시 각 소도체에 같은 방향의 대전류가 흘러 소도체간 흡입력 발생 (스페이서로 방지)

 

Q12. '연가' 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정의, 효과)

더보기

송전선의 전선배치 시 대부분 지형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비대칭 구조로 가설됩니다.

이러한 경우 떄문에 각 전선의 선로정수는 불평형 상태가 되는데,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송전선 상호간의 위치를 적절하게 바꾸어주는 것을 연가라고 합니다.

효과 : 직렬공진 방지, 유도장해 감소, 선로정수 평형

 

Q13. '페란티 현상' 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정의, 원인, 방지책)

더보기

경부하시 정전용량에 의해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원인 :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선 충전전류가 흘러서 발생

방지 대책 : 수전단에 분로 리액터 설치, 동기조상기의 부족여자 운전 등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저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며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은 큰 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