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다. 공유하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 글들은

제가 2019~2020년도

전기직 취업 준비를 위해

정리하던 자료입니다

 

 

현재는 취업에 성공했고

예전에 적어뒀던 블로그 문을 닫고

질문만 보고

답은 생각해보면서

펼쳐보는게 좋을 것 같아

아래 방식으로

여기에 새로 옮겨 적어봅니다.

 

전기 학문 특성상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아

도움이 될까싶어 올려두니

도움 되시면 좋겠습니다

 

 

 

 

 

 

 

Q23. '중성점 접지방식' 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목적,종류,종류별 특징)

(Q76번 답이 BETTER)

더보기

목적 :

1) 이상전압 발생 방지

2) 보호계전기 확실한 동작

3) 절연레벨 경감

4) 지락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 억제

5) 통신선의 유도장해 감소

 

종류 :

1) 비접지방식

 

2) 직접접지 방식

(1) 접지방법 : 중성점에 별도의 임피던스 없이 도선으로 직접접지

(2) 장점 :

① 1선지락 고장시 건전상 대지전위상승이 거의 없다

② 절연레벨 경감 가능, 절연비 절감

③ 지락전류 커서 고장검출 용이

④ 보호계전기 동작 확실

(3) 단점 : 

① 인접 통신선의 유도장해 유발

② 지락전류 커서 과도 안정도 나쁨

③ 지락점 손상 크다

④ 기계적 강도 커야한다

 

3) 저항접지 방식

(1) 접지방법 : 중성점에 적당한 크기의 저항을 삽입

(2) 특징 : 직접접지와 비접지(소호리액터)의 중간 정도의 특성이다.

 

4) 소호리액터접지 방식

(1) 접지방법 : 선로의 대지 정전용량과 병렬공진하는 리액터를 연결하여 중성점 접지

(2) 지락전류 : 1선 지락고장시 고장점에는 극히 작은 손실전류 흐른다.

 

Q24. '유도장해'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80번 답 참고)

더보기

1) 정전유도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용량과 영산전압에 의해 발생

2) 전자유도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와 영상전류에 의해 발생

3) 고조파 유도 : 고조파 유도에 의한 잡음 발생

 

* 자기유도 : 코일과 자석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

* 상호유도 : 자기유도에 의한 코일의 전류변화가 이웃한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현상 

 

Q25. '유도장해 경감대책'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전력선측, 통신선측)

(80번 답 참고)

더보기

1) 전력선측 대책

① 송전선로를 통신선로로부터 멀리 이격시킨다

② 중성점의 접지저항값을 크게한다

③ 고속도 지락보호 계전기 채택

④ 연가 충분히 하낟

 

2) 통신선측 대책

① 통신선의 도중에 중계코일 설치

② 연피 통신케이블 사용

③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 설치

④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 교차

⑤ 절연변압기 사용

 

Q26. '고장계산법' 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시오 (4가지)

더보기

1) 옴법

 

2) %임피던스법 :

① 변압기를 포함한 회로에서 기준이 되는 전압과 전류를 정하고,

각각의 임피던스를 기준임피던스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

② 기준전압에 대한 임피던스 전압강하의 빌르 백분율로 나타낸 것

③ 단락전류나 단락용량등을 계산하는데에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됨

 

3) PU(Per Unit) 법 :

%임피던스를 100으로 나누 값

 

4) 대칭좌표법 :

부하 및 기전력이 평형을 이루지 못할 때, 계산이 복잡해지기 떄문에

이것을 대칭의 성분인 역상 영상 정상으로 나누어 계산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Q27. '안정도'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정의, 종류, 향상대책)

더보기

정의 :

안정도란 계통이 주어진 운전 조건 하에서 안전하게 운전을 계속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종류 : 

1) 정태안정도(정상운전할 때)

2) 동태안정도 (AVR 이랑 조속기까지 고려했을 때의 정태안정도)

3) 과도안정도 (고장났을 때)

 

안정도 향상대책 :

1) 직렬 리액턴스(X) 값을 작게 (복도체 사용, 기기의 리액턴스 감소, 직렬콘덴서 사용)

2) 전압변동 작게

3) 중간조상방식 채용

4) 고장전류 줄이고, 고장구간 신속차단 (고장시 전력변동 억제)

5) 고속도 재폐로방식 채용

 

Q28. '이상전압'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종류, 설명)

더보기

내부

1) 개폐서지 : 선로 개폐시 전위상승 (차단기 내에 저항기 설치)

2) 1선 지락시 전위 상승 (중성점 접지방식)

3) 무부하시 전위상승 = 페란티현상 (병렬 리액터)

4) 잔류전압에 의한 전위상승 (연가)

 

외부

1) 직격뢰 : 전선로에 직격되는 뇌

2) 유도뢰 : 정전유도에 의해 대전된 뇌분이 대지로 방전시 인접한 전선로에 유도되는 뇌

 

* 뇌서지에 의한 이상전압 : 직격뢰, 유도뢰, 송배전 선로에서의 가장 아찔한 이상전압

 

* 개폐서지에 의한 이상전압 : 선로 중간에 개폐기나 차단기가 동작할 때

무부하 충전전류를 개방하는 경우, 이상전압들 중 최대.

 

* 소호리액터의 직렬 공진 :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대지 정전용량과 직렬공진이 되면 중성점에 큰 전류가 흘러 이상전압 발생.

 

Q29. '이상전압에 대한 방호장치와 그 기능'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1) 가공지선 : 유도뇌, 직격뇌 차폐

2) 피뢰기 : 기기 보호

3) 매설지선 : 역섬락 방지

4) 개폐저항기 : 개페서지 이상전압의 억제

5) 서지흡수기 : 변압기, 발전기 등을 서지로부터 보호

 

Q30. '가공지선' 에 대해 설명하시오 (역할 ,특징)

더보기

애자 및 전선에 직격뢰가 맞는 것을 가공지선이 대신 맞아 선로를 보호하는 역할.

가공지선을 2가닥으로 하면 차폐효과가 더 좋아진다.

보호각(차폐각)은 작을수록 좋다.

 

Q31. '매설지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역할, 특징)

더보기

역섬락 방지 역할

* 역섬락 : 철탑측으로부터 도체를 향해서 일어나게 되는 섬락

* 섬락 : 송배전선의 애자 등 절연물을 끼워 놓은 두 도체간의 전압이 어떤 전압(섬락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절연물 표면에 있는 공기를 아크 방전이 일어나 이것이 지속되는 현상

 

Q32-1. '피뢰기'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정의, 구성요소)

더보기

정의

이상전압이 전기시설물에 침입할 때 뇌전류를 대지를 통하여 방전시켜 기기의 절연 파괴를 방지하며,

방전 시 생기는 속류를 고속 차단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장치

 

구성요소

1) 직렬갭 : 속류 차단, 소호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충격파에 대해서는 저전압을 방전

2) 특성요소 : 뇌전류 방전 시 피뢰기 자신의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자신의 절연파괴를 방지

 

Q32-2. '피뢰기'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설치 장소, 구비조건)

더보기

설치장소

1) 가공전선과 지중전선의 접속점

2) 발,변전소의 인입구 및 인출구

3)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4) 고압 및 특고압으로부터 수전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구비조건

1) 상용주파 방전 개시 전압 높을 것

2) 충격 방전 개시 전압 낮을 것

3) 제한전압 낮을 것

4) 속류차단능력 클 것

 

Q32-3. '피뢰기' 에 대해 아는만큼 설명하시오. (정격전압, 제한전압, 속류)

더보기

1) 정격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전압

2) 제한전압 : 피뢰기 방전 중 피뢰기 단자에 남게되는 충격전압, 절연협조의 기준전압

3) 속류 : 상용주파전류, 방전 이후에 대지로 흐르는 전류

 

* 절연협조 : 계통 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등의 상호간에 적당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계통의 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

 

* 절연 레벨 : 전기가 전류를 잘 통하게 하기 위해서 제시된 전압의 기준범위의 값들.

누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레벨

(피뢰기 < 변압기 < 기기 < 애자 )

 

Q32-4. '피뢰기와 피뢰침의 차이'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피뢰기와 피뢰침은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피뢰기는 건축물 내부의 기기에 설치되어 전기시설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되고

피뢰침은 통상 건물의 옥상에 많이 설치되어 건축물과 내부의 사람을 보호하는데 사용됩니다.

 

Q32-5. '갭레스 피뢰기' 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1) 비직선성이 뛰어난 Zn0 를 특성요소로 사용하여 직렬갭을 없앤 구조의 피뢰기

2) 직렬갭이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3) 오손에 강하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저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며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은 큰 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