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 내용은
제가 2019~2020년도
전기직 취업 준비를 위해
정리하던 자료입니다
현재는 어느 회사엔가 취업하게 되었으며
예전에 적어뒀던 블로그 문을 닫고
질문만 보고
답은 생각해보면서
펼쳐보는 방식이 좋을 것 같아
아래처럼
여기에 새로 옮겨 적어 봅니다
전기 학문 특성상 내용이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아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둡니다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1) 선전류는 상전류의 루트3배 이고, 위상은 30도 뒤진다 (선간전압 = 상전압)
2)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3) 1상분이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 운전이 가능하다
4) 저전압, 대전류 운전에 적당하다
5)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6)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 하면 순환 전류가 흐른다
7)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이다
1)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루트3배 이고 위상은 30도 앞선다. (선전류=상전류)
2) 1차 전압,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3)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며 고압의 경우 이상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소전류, 고전압에 유리하다.
5) 부하의 불평형에 의하여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일으키므로
송배전계통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6) 제3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으므로 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7) 중성점을 접지하면 제3고조파 전류가 흘러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1) 한쪽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 할 수 있다.
2) 한쪽에 델타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3) 강압, 승압이 용이하여 송전계통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4) 1,2차 선간전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5) 1상이 고장나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해진다.
6) 중성접지로 인하여 유도 장해를 초래한다.
1) 델타-델타 결선에서 1대 변압기 고장시 2대만으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2)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량이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3) 설비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4) 델타 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된다.
5) 부하상태에 따라서, 2차 단자 전압이 불평형이 될 수 있다.
1) 비율차동 계전기
2) 부흐홀쯔 계전기 :
변압기 내부에 사고가 발생하면 절연유와 절연물이 분해되어 수소가스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작동하는 계전기(변압기와 콘서베이터 사이의 파이프)
3) 과전류 계전기
4) 압력 계전기
5) 가스검출 계전기
자기장 속에서 도선이 움직일 때, 자기장의 방향과 도선이 움직이는 방향의 외적방향으로
유도기전력(또는 유도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는 규칙.
이 방향은 발전기의 유도기전력 방향과 같다.
자기장 속에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의 외적방향으로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규칙.
이 방향은 전동기의 운동방향과 같다.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즉,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 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코일 속을 지나는 시간에 대한 자속의 변화율과 코일의 감은 횟수에 비례한다.
유도기전력에 (-)부호가 붙게 되는데 여기서의 (-)는 반대방향을 뜻한다.
오른나사를 돌렸을 때 나사의 진행 방향이 전류의 방향이고
나사의 회전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 및 전기기사 내용을 정리해 본 글 입니다
저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며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은 큰 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