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중성점 접지 목적
1) 1선 지락시 대지 전위 상승 억제 ->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2) 뇌, 아크, 지락에 의한 이상전압 경감 및 발생 방지
3) 보호계전기의 동작 확실
4) 소호리액터의 지락아크의 빠른 소멸
5) 과도 안정도 증진
나) 중성점 접지 방식의 종류
1) 비접지 방식 (Zn = ∞)
① 저전압 단거리 선로(33kV이하)에 적합
② △-△ 결선의 3상 변압기에 사용
③ 1선 지락시 대지전위가 루트3 배 상승
④ V-V결선 가능
2) 직접 접지 방식 (Zn = 0)
① 1선 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다.
② 단절연, 저감절연이 가능 -> 절연레벨 경감 -> 절연비를 낮출 수 있어 경제적
③ 보호계전기 동작 확실
④ 피뢰기 효과 증진
⑤ 지락전류가 최대이기 때문에 통신선 유도장해가 크다. (고속차단 가능하므로 큰 영향은 없다)
⑥ 지락전류가 저역률 대전류이기 때문에 과도안정도가 나쁘다.
⑦ 지락전류 때문에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 크다.
⑧ 차단기가 빈번하게 동작한다.
3) 저항 접지 방식 (Zn = R)
① 저저항 접지 : 30Ω 정도
② 고저항 접지 : 100~1000Ω 정도
4)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Zn = X_L)
① 사고시 각 상의 대지 정전용량과 중성점에 접지할 리액터와의 병렬공진 관계를 이용한다.
② 지락사고시 대지전위 상승이 최대
③ 지락전류 최소
④ 1선 지락시 지락 아크를 재빨리 소멸하여 송전가능하다(과도안정도 증가)
⑤ 보호계전기 동작이 불확실하다.
* '유효접지'란?
1선 지락시 대지전위 상승이 상규 대지전압의 1.3배 이하가 되도록 중성점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접지방식.
직접접지 방식은 유효접지에 속하고 기타 방식은 비유효접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