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다. 공유하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 내용은

제가 2019~2020년도

전기직 취업 준비를 위해

정리하던 자료입니다

 

현재는 어느 회사엔가 취업하게 되었으며

예전에 적어뒀던 블로그 문을 닫고

질문만 보고

답은 생각해보면서

펼쳐보는 방식이 좋을 것 같아

아래처럼

여기에 새로 옮겨 적어 봅니다

 

전기 학문 특성상 내용이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아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둡니다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Q71. '계기용 변성기(MOF)'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계기용변성기(MOF : Metering Out Fit) :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로서 변압기와 변류기를 하나로 합친 것.

 

*계기용 변압기(PT : Potential Transformer)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2차측 정격전압 은 110V 이다.

*계기용 변류기(CT : Current Transformer) : 회로의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2차측 정격전류는 5A이다.

 

*계기용 변압기 1,2차측 퓨즈 부착여부 및 이유 :

1차측 - 부착 (PT단락시 계통보호)

2차측 - 부착 (절연파괴 시 조작자위험방지)

 

 

Q72.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률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압강하율 : 수전전압에 대한 전압강하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전압변동률 : 수전전압에 대한 전압변동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무부하시 수전단 전압 - 전부하시 수전단 전압) / 전부하시 수전단 전압

 

 

Q73. '투자율과 유전율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투자율 : 자계의 세기와 자속의 세기의 비

(어떤 물질을 자기장에 놓았을 때 상호자기장을 만들 수 있는 능력)

 

유전율 : 정전기장을 가했을 때, 내부에 분극이 일어나서 외부전기장에 반하는 내부전기장이 생기게 되어

총 전기장이 감소하게 되는데 그 비율을 유전율이라 한다.

(전기장에서 전기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물질의 능력)

 

 

 

Q74. '50Hz를 60Hz로 가동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직류기의 경우, 교류 전력이 들어와도 정류자를 통해서 직류로 변환한 뒤 사용하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지만,

유도기에서는 과열 및 권선이 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Q75. '중성점 접지 방식'에 대해 서술하시오

(Better than 23번답)

더보기

가) 중성점 접지 목적

  1) 1선 지락시 대지 전위 상승 억제 ->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2) 뇌, 아크, 지락에 의한 이상전압 경감 및 발생 방지

  3) 보호계전기의 동작 확실

  4) 소호리액터의 지락아크의 빠른 소멸

  5) 과도 안정도 증진

 

나) 중성점 접지 방식의 종류

 1) 비접지 방식 (Zn = ∞)

  ① 저전압 단거리 선로(33kV이하)에 적합

  ② △-△ 결선의 3상 변압기에 사용

  ③ 1선 지락시 대지전위가 루트3 배 상승

  ④ V-V결선 가능

 

 2) 직접  접지 방식 (Zn = 0)

  ① 1선 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다.

  ② 단절연, 저감절연이 가능 -> 절연레벨 경감 -> 절연비를 낮출 수 있어 경제적

  ③ 보호계전기 동작 확실

  ④ 피뢰기 효과 증진

  ⑤ 지락전류가 최대이기 때문에 통신선 유도장해가 크다. (고속차단 가능하므로 큰 영향은 없다)

  ⑥ 지락전류가 저역률 대전류이기 때문에 과도안정도가 나쁘다.

  ⑦ 지락전류 때문에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 크다.

  ⑧ 차단기가 빈번하게 동작한다.

 

 3) 저항 접지 방식 (Zn = R)

  ① 저저항 접지 : 30Ω 정도

  ② 고저항 접지 : 100~1000Ω 정도

 

 4)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Zn = X_L)

  ① 사고시 각 상의 대지 정전용량과 중성점에 접지할 리액터와의 병렬공진 관계를 이용한다.

  ② 지락사고시 대지전위 상승이 최대

  ③ 지락전류 최소

  ④ 1선 지락시 지락 아크를 재빨리 소멸하여 송전가능하다(과도안정도 증가)

  ⑤ 보호계전기 동작이 불확실하다.

 

* '유효접지'란?

   1선 지락시 대지전위 상승이 상규 대지전압의 1.3배 이하가 되도록 중성점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접지방식.

   직접접지 방식은 유효접지에 속하고 기타 방식은 비유효접지이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 및 전기기사 내용을 정리해 본 글 입니다

저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부탁드리며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은 큰 힘이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