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야전력기기
(1) 일반부하와 심야전력부하를 공용하는 부분의 부하전류
(2) 심야전력기기의 배선은 기기마다 전용의 분기회로를 시설할 것
(3) 배선은 합성수지관공사(배선), 금속관공사(배선),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배선), 케이블공사(배선) 에 의할 것
(4) 배선방법
① 정액제인 경우의 시설
② 종량제인 경우의 시설
③ 정액제/종량제 병용인 경우의 시설
2. 방폭 구조의 종류 및 기호
1) 방폭 구조의 종류
(1) 내압 방폭 구조
전폐 구조로 용기 내부에서 폭발이 생겨도 용기가 압력에 견디고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는 구조
(2) 압력 방폭 구조
용기내부에 보호가스(신선한 공기 또는 불연성가스) 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함으로서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된 구조
(3) 유입 방폭 구조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속에 넣고,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4) 안전증 방폭 구조
정상운전 중에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원이 될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 부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전기적 구조상 또는 온도상승에 대해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
(5) 본질안전 방폭 구조
정상 시 및 사고 시(단선, 단락, 지락 등) 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에 의하여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되지 않는 것이 점화시험, 기타에 의하여 확인된 구조
2) 방폭 구조의 기호
구분 |
기호 |
방폭 구조의 종류 |
내압 방폭구조 유입 방폭구조 압력 방폭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본질안전 방폭구조 특수 방폭구조 |
d o p e i s |
3. 안전보호
(1) 직접 접촉예방
전기설비가 정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설비에 사람 또는 동물이 접촉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감전예방을 위한 보호
① 충전부의 절연에 의한 보호
② 격벽 또는 외함에 의한 보호
③ 장애물에 의한 보호
④ 손의 접근한계 외측 설치에 따른 보호
⑤ 누전차단기에 의한 보호
(2) 간접 접촉예방
전기설비에 지락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전기설비에 사람 또는 동물이 접촉한 경우를 대비하여 감전예방을 위한 보호로서 다음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시
① 전원의 자동 차단에 의한 보호
② 2급 기기의 사용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절연에 의한 보호
③ 비도전성 장소에 의한 보호
④ 비접지용 국부적 등전위 접속에 의한 보호
⑤ 전기적 분리에 의한 보호
(3)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는 직접접촉 및 간접접촉 예방을 동시에 시행.
사용전압은 교류 50[V] 이하, 직류 120[V] 이하
① 비접지회로에 적용하는 SELV 계통
② 접지회로에 적용하는 PELV 계통
③ 기능상 ELV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FELV 계통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13. 접지시스템, 구성요소, 접지극 매설 방법, 접지도체, 보호도체, 주 접지단자, 변압기 중성점 접지
☞14. 공통접지, 통합접지,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 접지도체 굵기, 공용 접지
☞15. 접지저항 저감 방법, 변전소 각 기기의 접지방법, 접지설비의 분류
☞16. 저압 계통 접지 및 저압전로 보호장치, TN,TT,IT 계통,
☞17. 저압전로의 절연저항, SELV, PELV, 누전 차단기 설치, 종류
☞18. 옥내배선, 금속관 공사, 후강전선관, 박강전선관, 금속관 공사 조건, 금속관 공사용 부품, 본딩선과 박스
☞19. 합성수지관 공사, 금속덕트 공사, 버스덕트 공사, 케이블 트레이 공사, 플로어 덕트 공사, 합성수지몰드 공사
☞20.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 분진위험장소의 배선
☞21. 광속, 광도, 조도, 휘도, 광속발산도, 조명률, 감광보상률, 조명효율, 실지수, 조명계산
☞22. 조도계산 전 검토할 사항, 조명기구 통칙, 전반조명, 국부조명, 직접조명, 간접조명, 대칭배열, 편측배열, 조명기구 선정시 고려사항
☞23. 광원 종류, HID, EL램프, 초고압 수은등, 건축화 조명 종류, 눈부심 종류
☞24. 표준 부하, 분기 회로수, 역률, 전력용 콘덴서, 저압 진상용 콘덴서
☞25. 예비전원설비, 비상전원,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발전기실 위치 선정, 무정전 전원 장치, UPS, 축전지, 설페이션 현상
☞26. 저항 측정법, 켈빈더블브리지, 휘스톤브리지, 전압강하법, 콜라우시 브리지법, 메거, 후크온메타
☞27. 지중전선로, 시설 방식, 고장점 탐지법, 수색 코일법, 정전 용량법, 펄스 레이더법, 음향법, 절연상태 시험법
☞28. 전자유도장해, 정전유도장해, 대책, 중성점 접지 방식, 비접지, 직접접지, 소호리액터접지, 유효접지
☞29. 코로나, 복도체(다도체), 페란티 현상, 경제적인 송전전압 결정방법(Still의 식), 이도
☞30. 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 특고압 가공전선 높이, 시가지 특고압 가공전선로
☞31. 고조파, 왜형률, K-factor, 직류송전, 스팟 네트워크 방식, 배전 선로 전압 조정 방식
☞32.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연료전지 발전, 풍력 발전, 2차전지
글(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안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