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고압 중성선의 가선
(1) 중성선은 나전선을 사용해야 하며 저압애자로 지지(다만, 인류개소, 장경간 등 저압애자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적용하지 않음)
(2) 중성선의 최소 굵기는 ACSR 32[㎟] 이상으로서 전압선과 같은 굵기의 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최대 굵기는 ACSR 95[㎟] 으로 함
2. 장주의 종류
(1) 창출 장주 : 전주에 완금을 설치할 때 전주를 중심으로 완금의 일부를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하는 장주
(2) 편출 장주 : 전주에 완금을 설치할 때 완금을 전주의 한 쪽으로 완전히 치우쳐 설치하는 장주
(3) 보통 장주 : 전주에 완금을 설치할 때 전주를 중심으로 완금의 길이가 좌우 같은 길이가 되도록 설치하는 장주
3. 전주에 사용되는 밴드의 종류
(1) 행거 밴드 :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밴드
(2) 암타이 밴드 : 전주에 각암타이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밴드
(3) 랙 밴드 : 전주에 랙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밴드
(4) 지선 밴드 : 지선을 설치하기 위한 밴드
4. 랙(Rack)
(1) 저압선로용으로 지면에 대하여 저압배전선로를 수직으로 배열하는 데 사용
(2) 1선용 : 특별고압 중성선 (인류애자 사용)
(3) 2선용 : 단상 2선 저압선로의 전선
(4) 4선용 : 3상 4선식 저압선로의 전선
5. 3상 4선식 선로의 각도주
① 콘크리트 전주
② 완철(완금) 밴드
③ 6각 볼트
④ 경완철 (=경완금)
⑤ 라인포스트 애자
⑥ 랙 밴드
⑦ 랙크
⑧ 저압 인류애자
⑨ 지선 밴드
6. 가공인입선의 인입선 접속점 및 인입구 배선
7. 가공케이블의 시설
저압,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1) 케이블은 조가용선에 행거로 시설할 것. 이 경우에는 사용전압이 고압인 때에는 그 행거의 간격을 0.5[m] 이하로 시설
(2) 조가용선은 단면적 22[㎟] 이상인 아연도강연선일 것
(3)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4) 조가용선의 케이블에 접촉시켜 그 위에 쉽게 부식하지 아니하는 금속테이프 등을 0.2[m] 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며 나선상으로 감을 것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16. 저압 계통 접지 및 저압전로 보호장치, TN,TT,IT 계통,
☞17. 저압전로의 절연저항, SELV, PELV, 누전 차단기 설치, 종류
☞18. 옥내배선, 금속관 공사, 후강전선관, 박강전선관, 금속관 공사 조건, 금속관 공사용 부품, 본딩선과 박스
☞19. 합성수지관 공사, 금속덕트 공사, 버스덕트 공사, 케이블 트레이 공사, 플로어 덕트 공사, 합성수지몰드 공사
☞20.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 분진위험장소의 배선
☞21. 광속, 광도, 조도, 휘도, 광속발산도, 조명률, 감광보상률, 조명효율, 실지수, 조명계산
☞22. 조도계산 전 검토할 사항, 조명기구 통칙, 전반조명, 국부조명, 직접조명, 간접조명, 대칭배열, 편측배열, 조명기구 선정시 고려사항
☞23. 광원 종류, HID, EL램프, 초고압 수은등, 건축화 조명 종류, 눈부심 종류
☞24. 표준 부하, 분기 회로수, 역률, 전력용 콘덴서, 저압 진상용 콘덴서
☞25. 예비전원설비, 비상전원,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발전기실 위치 선정, 무정전 전원 장치, UPS, 축전지, 설페이션 현상
☞26. 저항 측정법, 켈빈더블브리지, 휘스톤브리지, 전압강하법, 콜라우시 브리지법, 메거, 후크온메타
☞27. 지중전선로, 시설 방식, 고장점 탐지법, 수색 코일법, 정전 용량법, 펄스 레이더법, 음향법, 절연상태 시험법
☞28. 전자유도장해, 정전유도장해, 대책, 중성점 접지 방식, 비접지, 직접접지, 소호리액터접지, 유효접지
☞29. 코로나, 복도체(다도체), 페란티 현상, 경제적인 송전전압 결정방법(Still의 식), 이도
☞30. 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 특고압 가공전선 높이, 시가지 특고압 가공전선로
☞31. 고조파, 왜형률, K-factor, 직류송전, 스팟 네트워크 방식, 배전 선로 전압 조정 방식
☞32.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연료전지 발전, 풍력 발전, 2차전지
☞33. 심야전력기기, 정액제, 종량제, 정액제/종량제 병용, 내압/압력/유입/안전증/본질안전/특수 방폭 구조, 방폭 구조 기호, 직접 접촉예방, 간접 접촉예방,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34. 리액터 종류,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의 접지, 단상 전파정류, 전력용 변환장치, 가공전선로 지지물
☞35. 지선 시설 목적, 지선 종류, 지선 설치 방법, 지선의 시공 방법, 지선장력
글(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안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