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지물
1) 지지물의 종류
목주, 철근콘크리트주, 철주, 철탑
※ 철탑의 종류
① 직선형 : 선로의 직선부분에 수평각도 3도 이하 시설하는 지지물
② 각도형 : 수평각도 3도 초과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지지물
③ 인류형 : 전 가섭선을 인류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지지물
④ 보강형 : 전선로를 보강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지지물
⑤ 내장형 : 경간의 차가 큰 장소에 시설하는 지지물
(철탑시설 시 10기 이하마다 1기씩 내장형 애자장치를 한 철탑(내장형 철탑) 시설)
2) 지선
(1) 설치 목적
지지물에 가하는 하중을 일부 분담하여 지지물의 강도 보강함으로 전도사고 방지 (지지물 강도 보강)
전선로의 평형 유지
(2) 구비조건
① 안전율 : 2.5
② 소선의 굵기 : 2.6[mm] 이상
③ 소선수 : 3가닥 이상 연선
④ 인장하중 : 4.31[KN] 이상 (=440[Kg] 이상)
(3) 지선 종류
① 보통지선 : 일반적으로 사용
② 수평지선 : 도로나 하천을 지나가는 경우
③ 공동지선 : 지지물 상호거리가 비교적 근접해 있는 경우
④ Y 지선 : 다단의 완철이 설치된 경우, 장력의 불균형이 큰 경우
⑤ 궁지선 : 비교적 장력이 작고 협소한 장소
(4) 지선의 장력
① 지선장력 [kg]
② 지선의 가닥수 (가닥)
T' : 소선 1가닥의 인장하중
k : 지선의 안전율
2. 지중전선로
1) 지중 전선로의 장단점
(1) 장점
① 미관상 좋다
② 기상조건에 대한 영향 적다
③ 화재 발생이 적다
④ 통신선 유도장해가 적다
⑤ 인축 접지사고가 적다
⑥ 다회선 시설에 유리하다 (도심 중심지, 부하용량 큰 경우)
(2) 단점
① 시설비 비싸다
② 고장점 검출 어렵고, 복구가 어렵다
3. 매설 방법과 고장점 검출 방법
1) 매설 방법
(1) 직접 매설식 (직매식)
(2) 관로 인입식 (관로식)
(3) 암거식
(공동구식도 암거식의 일종이다)
2) 케이블 고장점 검출 방법
(1) 머레이 루프법
휘스톤 브리지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
케이블의 선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
(2) 정전용량 계산법
구조가 같은 케이블은 정전용량이 길이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
사고 선로와 건전상의 선로의 정전용량을 비교하여 고장점을 탐색하는 방법
(3) 수색 코일법
지중 케이블의 고장점을 지상으로부터 탐색 코일과 수화기로서 검출하는 방법
(4) 펄스 인가법
펄스를 케이블에 가하면 진행하는 펄스가 고장점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여 고장점을 찾아내는 방법
(5) 음향법
고장 케이블에 고전압의 펄스를 보내어 고장점에서 발생하는 방전음을 이용하여 고장점을 찾아내는 방법
4.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
1) 케이블의 전력 손실
(1) 저항손
(2) 유전체손
① 단심 케이블
② 3심 케이블
여기서 E : 상전압, V : 선간전압
(3) 연피손
도체 통전 중일 때 도체로부터 전자유도작용으로 연피에 전압이 유기되어 생기는 손실
2) 케이블의 선로정수
(1) 저항
케이블의 도체는 연동선 사용
(2) 인덕턴스
단심 케이블인 경우
d : 도체 외경, D : 절연체 외경 (연피의 내경)
(3) 정전용량
단심 케이블인 경우
지중전선로의 정전용량은 가공전선로에 비해 100배 정도이다,
5. 송전방식
1) 직류송전방식 장단점
(1) 장점
① 절연 계급 낮출 수 있다
②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강하 없다
③ 송전 효율 좋다
④ 안정도 좋다
⑤ 도체 이용률이 좋다
(2) 단점
① 교직 변환장치가 필요, 설비 비싸다
② 고전압 대전류 차단 어렵다
③ 회전자계 얻을 수 없다
2) 교류송전방식 장단점
(1) 장점
① 전압의 승압 강압 변경 용이하다
② 회전자계 쉽게 얻을 수 있다
③ 일괄된 운용 가능
(2) 단점
① 보호 방식 복잡해진다
② 많은 계통이 연계되어 있어 고장시 복구 어렵다
③ 무효전력으로 인한 송전손실 크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력공학] 전선의 구비조건, 단선, 연선, 소선 가닥 수, 표피효과, 연동선, 강심알루미늄연선(ACSR), 켈빈의법칙
☞[전력공학] 전선의 이도(Dip), 실제길이, 평균 높이, 전선의 수직하중, 수평하중, 합성하중, 진동과 도약
☞[전력공학] 애자 설치 목적, 구비조건, 종류, 애자련 전압 부담, 섬락 특성
글(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안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