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 내용은
제가 2019~2020년도
취업을 준비하면서
정리했었던 내용입니다
전기직 전공 면접 준비할 때
참고했었던 내용들로
전기기사 필기 개념을
주로 정리했었습니다
취업시장이 많이 어려워진 지금
준비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십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고 발생시 사고구간을 일시적으로 차단한 후, 문제 해결시 즉시 재투입하여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방식.
가) 목적
① 전선의 지지
② 전선과 지지물과의 절연간격 유지
나) 구비조건
① 절연내력 클 것
② 절연저항 클 것
③ 충전용량 적을 것
④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⑤ 가격 저렴할 것
① 애자 각 부분의 열팽창이 상이
② 누설 전류에 의한 편열
③ 시멘트의 화학 팽창 및 동결 팽창
① 이상전압으로부터 애자련 보호
② 애자 전압의 균등 분배
③ 애자의 열적파괴 방지
① 저항손
② 유전체손
③ 연피손
1) 선로, 변압기 등의 저항손이 역률과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가장 큰 효과)
2) 변압기, 개폐기 등의 송 용량은 역률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3) 선로의 송전용량에 의하여 제한될 때는 역률에 비례하여 송전용량이 증대한다.
4) 전압강하는 1+ (x/r)*tan세타 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1) 송수전단 전압의 상차각
2) 송전효율
3) 송전전압 및 송전거리
4) 송수전단의 리액턴스
5) 특성 임피던스
1) 중량이 가볍다
2) 전압변동률 작다
3) 동손의 감소에 따른 효율이 높다
4) 변압비가 1에 가까우면 용량 커진다
5) 누설임피던스가 작으므로 단락전류 증가한다
1) 발전소의 유효전력, 무효전력의 조정
2)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의 접속 변경
3) 조상설비의 무효전력 조정
1) 전압의 승압 및 강압
2) 전력의 집중 및 분배
3)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제어
4) 전압조정
5) 전력조류제어
가) 영향
1) 전기적 중성축이 이동한다. (발전기 : 회전방향, 전동기 : 회전방향의 반대방향)
2) 주자속을 감소 -> 부하시 전압강하의 원인
3) 정류자 편간전압의 불균일 -> 국부적 섬락의 원인
나) 대책
1) 보극을 설치 -> 중성점의 이동을 막는다.
2) 보상권선을 전기자 권선과 직렬로 넣는다.
3) 자기회로 저항 크게한다.
4) 계자기전력 크게한다.
1) 정류주기 길게한다.
2) 리액턴스전압 작게한다.
3) 단전권의 채용으로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를 적게한다.
4) 탄소브러시 사용 (저항정류)
5) 보극설치 (전압정류)
6) 자속분포 줄이고 자기적으로 포화시킨다.
1) 무부하 곡선이 자기포화곡선에 있을 것
2) 잔류자기가 있을 것
3) 임계저항이 계자저항보다 클것
4) 회전방향이 잔류자기를 강화시키는 방향일 것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3.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학습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시 수정될 수 있으며 댓글로 알려주셔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