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래 내용은
제가 2019~2020년도
취업을 준비하면서
전기기사 필기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었던 자료입니다
전기직 전공면접을 준비할 때
많은 참고를 했습니다
취업시장이 어려워지는 요즘
작은 아이디어의 도움이라도
되고자 올려봅니다.
모든 일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1대의 발전기로 용량이 부족할 때
2) 부하 변동의 폭이 클 때 경부하에 효율을 좋게 운전하기 위해
3) 예비기 또는 점검, 보수 측면의 유리함
1) 정격전압 및 극성이 같을 것
2) 외부특성곡선이 어느정도 수하특성일 것
3) 용량이 다를 때 %부하 전류로 나타낸 외부특성곡선이 거의 일치할 것
1) 저항이 같으면 -> 유기전압이 큰 쪽이 부담
2) 유기 전압이 같으면 -> 부하는 전기자 회로 저항에 반비례하여 분배
1) 직축형, 원통형 회전자를 가지는 고속발전기로 극수는 2극 또는 4극이다.
2) 전기자는 고규소 강판을 사용하여 철손을 적게 설계하였다.
3) 냉각방식은 수소냉각방식을 이용
1) 공극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단절권, 분포권의 사용
3) 반폐슬롯 채용
4) 전기자 철심을 사구로 한다.
5) Y결선으로 한다
6) 매극매상당 슬롯수를 크게 한다.
1) 분포권 : 매극, 매상의 코일을 2개 이상의 슬롯에 분산
2) 집중권 : 매극, 매상의 코일을 1슬롯에 집중하여 감는 법
3) 전절권 : 권선피치가 자극피치와 같은 권선법
4) 단절권 : 권선피치가 자극피치보다 적게 감긴 것
가) 분포권
1) 기전력의 고조파가 감소하여 파형이 좋아진다
2) 권선의 누설리액턴스가 감소한다
3) 전기자 권선에 의한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과열을 방지한다
나) 단절권
1) 고조파를 제거하여 기전력의 파형을 좋게한다.
2) 기계쩐체의 길이가 축소된다.
3) 구리의 양이 적어진다.
1) 발전기를 병렬로 모선에 접속
2) 수전단에 동기조상기를 접속하고 이것을 부족여자로 하여 송전선에서 지상 전류로 취하게 하면
충전전류를 그만큼 감소시키는 것이 된다.
3) 송전선로의 수전단에 변압기를 접속
4) 수전단에 리액턴스를 병렬로 접속
5) 발전기의 용량이 선로의 충전용량보다 커야 한다.
1) 동기 임피던스가 작아서 전압변동률이 작으며 송전용량, 충전용량이 증가한다.
2) 기계의 형태 중량이 커지며, 기계손이 증가하고 가격도 비싸다.
3) 가과부하 내량이 크고 안정도도 좋다.
4) 철기계라 불린다.
5) 단락비를 구하는 시험은 3상 단락 시험과 무부하 포화시험이다.
1) 균일한 각속도를 가질 것
2) 적당한 속도조정률을 가질 것
3) 조속기가 적당한 불감도를 가질 것
1) 원동기의 조속기 감도가 지나치게 예민한 경우
-> 조속기를 조정
2) 원동기의 토크에 고조파 토크가 포함된 경우
-> 회전부의 플라이 휠 효과를 적당히 선정
3) 전기자 회로의 저항이 상당히 큰 경우
-> 저항을 작게 하거나 리액턴스 삽입
4) 부하가 맥동할 떄
가) 장점
1) 속도가 일정불변
2) 항상 역률1로 운전할 수 있다
3) 필요시 앞선 전류를 통할 수 있다
4) 유도전동기에 비해 효율 좋다
나) 단점
1) 기동토크가 작다
2) 속도를 조정할 수 없다
3) 난조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4) 여자용의 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여 설비비가 많이 든다
1) 점도가 작고 비열이 커서 냉각효과가 클 것
2) 응고점이 낮고 인화점이 높을 것
3) 절연내력이 클 것
4) 고온에서 침전물이 생기지 않을 것
5) 절연물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말 것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4.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학습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시 수정될 수 있으며 댓글로 알려주셔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