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다. 공유하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래 내용은

2019~2020년도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전기기사 필기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었던 내용입니다

 

개인적으로 전공면접을 준비하면서

정리하고 가다듬으면서

참고를 많이 했었던 자료이기도 합니다

 

조금 시기가 지난 자료이지만

참고정도만 하시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시는 일 모두 잘 되기시길 응원합니다

 

 

 

 

 

 

 

 

 

 

 

 

 

 

 

 

 

Q216. '유전체'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계중에서 분극현상이 일어나는 절연체를 유전체라 합니다.

 

 

 

 

Q217. '유전율'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외부전기장을 유전체에 가하면 유전분극현상이 일어나 가해진 외부전기장의 반대방향으로 분극에 의한 전기장이 생깁니다.

그 결과, 유전체 내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작아지는데, 이 때 작아진 비율을 유전율이라 합니다.

 

 

 

 

Q218. '투자율'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가 일어날 때 생기는 자기력선속밀도)와 (진공중에서 자기장의 세기)의 비를 투자율이라 합니다.

 

 

 

 

Q219. '분극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유전체를 전계중에 놓으면, 유전체를 구성하는 원자 및 분자중에서 양전하는 전계의 방향으로, 음전하는 전계의 반대방향으로 변위를 일으켜 전기쌍극자를 형성합니다.

이때 유전체의 표면에 나타나는 전하를 분극전하라 하며, 분극전하로 인해 전기쌍극자를 형성하는 현상을 분극현상이라 합니다.

 

 

 

 

 

 

Q220. '전기영상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도체의 전하분포 및 경계조건을 교란시키지 않는 임의의 전하를 가상하여 도체의 전계를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Q221. '제백효과, 펠티에효과, 톰슨효과'를 설명하시오.

더보기

제백효과 : 서로다른 두 금속선을 연결하여 폐회로를 만든 후, 두 접속점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열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뜻합니다

 

펠티에효과 : 서로다른 두 금속선을 연결하여 폐회로를 만든 후, 두 접속점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전류를 흘리면

                  접속점에서 열의 흡수와 발생이 일어나는 현상을 뜻합니다.

 

톰슨효과 : 동종의 금속선을 연결하여 두 점간에 온도차를 주고 고온에서 저온쪽으로 전류를 흘리면

              도선속에서 열의 흡수나 발생이 일어나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 때 흡수 및 발열 현상은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흘려주면 바뀝니다.

 

즉,

제백효과 :          2종금속   & 온도차 주기                                & 열기전력발생(전류흐름발생)

펠티에효과 :       2종금속   & 전류 흘려주기                              & 열의 흡수/방출 발생

톰슨효과 :         동종금속  & 온도차 주기 + 고->저 전류 흘려주기  & 열의 흡수/방출 발생

 

 

 

 

Q222. '암페의 오른나사법칙'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류에 의한 자계방향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입니다.

즉, 도체에서 오른나사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도체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오른나사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자계가 생긴다는 법칙입니다.

 

 

 

 

Q223. '플레밍의 왼손법칙(전동기원리)'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서 자기장이 미치는 작용방향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도선의 각각의 부분에 자기장이 미치는 힘의 방향은 왼손의 중지를 전류의 방향 검지를 자기력선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였을 때 이것들에 대해 수직으로 편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Q22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발전기원리)'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자기장 속을 움직이는 도체내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도체의 운동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자기장속에서 자기력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도체를 움직이면 오른손의 엄지를 도체의 운동방향, 검지를 자기장의 방향으로 했을 때 수직으로 편 중지의 방향이 유도전류의 방향을 설명합니다.

 

 

 

 

 

 

 

Q225. '핀치효과'를 설명하시오.

더보기

액상속에 대전류를 흘리면 전류에 대해서 자계와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중심쪽으로 발생하여 도면체가 수축하고 저항이 증가합니다. 계속 수축이 되어 단면적이 작아지고 저항이 더 증가하면 전류는 흐르지 않게됩니다. 이 때 원상복귀가 되면서 다시 수축을 반복하는 현상을 핀치효과라고 합니다.

 

 

 

 

Q226. '전자유도 현상과 렌츠의 법칙'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한 회로에 쇄교하는 자속파이의 시간적 변화율에 따라 기전력이 유기되는 현상을 페러데이의 전자유도현상 이라고 합니다.

 

렌츠의 법칙: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발생한다'는 의미를 추가한 법칙.

 

 

 

 

Q227. '기준충격절연강도'를 설명하시오.

더보기

송전계통에 시설하는 선로애자, 개폐기, 지지애자, 변압기 등에 대한 최소절연 기준값을 의미합니다.

이때 피뢰기 제한전압을 기본으로 하므로,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다른기기류의 기준충격절연강도보다 낮아야 합니다.

 

 

 

 

Q228. '저감절연과 단절연'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저감절연 : 델타변압기의 경우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없으므로 대지로부터 22.9kV를 모두 견딜 수 있도록

              대지절연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있는 3상 4선식의 경우 중성점의 전위가 0이므로 각 상의 대지전압은

             22.9kV / 루트3 = 13.2kV로 13.2kV 에만 견디도록 대지절연을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절연 : 중성점에 가까울수록 절연강도를 낮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코일을 3등분 했다고 가정할 때, 중성점에서 제일 가까운 1/3 지점부분은

          13.2kV/3 인 4400V 에 견디도록 대지절연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Q229. 'MOF'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더보기

계기용변성기와 계기용변류기를 조합한 것으로 전력수급용 전력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합니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1.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학습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시 수정될 수 있으며 댓글로 알려주셔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