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다. 공유하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래 내용은

2019~2020년도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전기기사 필기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었던 내용입니다

 

개인적으로 전공면접을 준비하면서

정리하고 가다듬으면서

참고를 많이 했었던 자료이기도 합니다

 

조금 시기가 지난 자료이지만

참고정도만 하시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시는 일 모두 잘 되기시길 응원합니다

 

 

 

 

 

 

 

 

 

 

 

 

 

 

Q244. '역률'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정의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율을 역률이라 합니다.

이것은 전기기기에서 실제로 걸리는 전압과 전류가 얼마나 유효하게 일을 하는가 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역률의 크기와 의미

역률이 크다는 것은 유효전력이 피상전력에 근접하는 것으로,

부하측에서 보면 같은 용량의 전기기기를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원측에서 보면 같은 부하에 대하여 적은 전류를 흘려보내도 되므로 전원설비의 이용효과가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역률저하의 원인

1) 유도전동기의 부하의 영향 : 유도전동기는 특히 경부하일 때 역률저하

2) 가정용 전기기기와 방전등의 보급에 의한 역률저하

3) 주상변압기의 여자전류 방향에 따른 역률저하

 

역률개선 효과

1) 전력회사 측면 : 전력계통안정, 전력손실감소, 설비용량의 효율적 운용

2) 수용가 측면 : 설비용량의 여유증가, 전압강하 경감, 전기요금 경감

 

 

 

 

Q245.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UPS(Unu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이라고 합니다.

일반전원 또는 예비전원 등을 사용할 때 전압 변동, 주파수 변동, 순간 정전, 과도 전압 등으로 인한 전원 이상을 방지하고 항상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장치입니다.

 

 

 

 

 

Q246. '1선지락'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뇌운과 송전선로 사이에 뇌방전이 일어났을 경우 송전선이 뇌에 직격되었다고 합니다.

이 때 선로에 생기는 이상전압을 직격뇌서지전압 이라고 부릅니다. 이 전압은 진행파가 되어 선로상에 전파되고 철탑설치개소에 이르게 되면 애자의 절연을 파괴해서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애자의 섬락 이라고 합니다.

섬락이 발생하면 선로전류는 애자를 단락해서 방전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선로전류는 아크전류가 되어서 철탑을 거쳐 대지에 흐르게 됩니다. 도체의 1선이 아크로 접지되었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이것을 1선지락 이라고 부릅니다.

 

 

 

 

 

 

 

Q247. '저압뱅킹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정의

동일 고압 배전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2대 이상의 배전용 변압기를 경유해서 저압측 간선을 병렬 접속하는 방식

 

특징

1) 변압기의 공급전력을 서로 융통시킴으로써 변압기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전압변동 및 전력손실이 경감된다

3) 부하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성이 향상된다

4) 부하 밀집지역에 적합하다

5) 공급신뢰도가 향상된다

6) 케스케이딩 현상에 의해 정전범위가 넓어진다. (변압기 2차측 저압선 일부의 고장으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압기 1차측 보호장치에 의하여 차단되는 현상)

 

 

 

 

Q248. '저압네트워크 방식'을 설명하시오.

더보기

정의

배전변전소의 동일 모선으로부터 2회선 이상의 급전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

 

특징

1) 무정전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2) 전력손실, 전압강하가 적다

3) 부하 밀집지역에 적합하다

4) 부하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5) 건설비 비싸다

6) 특별한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Q249. '가공지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더보기

벼락으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체 위쪽에 도선과 평행하게 가설한 금속선 입니다.

 

 

 

 

Q250. '절연협조'를 설명하시오.

더보기

각 계통의 기기는 자체의 기능에서 요구되는 절연강도 뿐만 아니라, 만일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범위를 최소한으로 억제해서 계통전체의 신뢰도를 높이고 또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절연강도가 될 수 있도록 기기 상호간 절연의 협조를 잘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같이 계통 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계통 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을 절연협조라 합니다.

 

 

 

 

 

 

 

 

 

 

 

1분만 투자해도 합격에 가까워질 관련 글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3.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4.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5.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6.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7.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8.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19.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0.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1.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2.

전기직 전공면접 질문 23.

 

 

 

 


취업을 준비하면서 혼자 전공 자료를 정리하고 옮겨적는 공간입니다.

학습이 충분하지 않아 잘못된 내용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시 수정될 수 있으며 댓글로 알려주셔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